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교통 무기

SSN-688 로스앤젤레스급 공격 잠수함 (Los Angeles Class Submarine) 제원, 동급함 목록

by sk4view 2024. 2. 26.

목차

    로스앤젤레스급 공격 잠수함 (Los Angeles Class Submarine) 소개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은 미국 해군에서 운용되는 공격 잠수함으로, 그 탁월한 기술력과 성능으로 유명합니다. 이 글에서는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의 특징과 역사, 그리고 주요 기술적 세부 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은 미국 해군이 운용하는 공격형 핵잠수함(SSN)으로, 냉전 기간 중 소련의 해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1976년부터 1996년까지 총 62척이 건조되었으며, 이들은 고속으로 장거리를 운항하며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로스앤젤레스급은 장기간 해상에서의 작전 수행 능력과 함께, 미 해군의 잠수함 전력 중 핵심을 이루고 있습니다.

    SSN-688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 제원 및 특징

    • 길이: 약 110미터 (360피트)
    • 배수량: 수중에서 약 7,000톤
    • 추진력: 원자력 추진, S6G 원자로를 사용하여 약 30노트(약 56km/h) 이상의 속도 달성
    • 무장: 톰호크 순항 미사일, 하푼 대함 미사일, 마크 48 어뢰
    • 승무원: 약 130명

    공격 잠수함 역할 및 임무

    USS Santa Fe(SSN-763)의 Mk36 VLS 해치가 개방된 모습USS Annapolis(SSN 760)의 토마호크 미사일 시험 발사/2018.6
    USS Santa Fe(SSN-763)의 Mk36 VLS 해치가 개방된 모습 / USS Annapolis(SSN 760)의 토마호크 미사일 시험 발사/2018.6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의 주된 임무는 적의 해상 전력, 특히 적 잠수함을 추적하고 파괴하는 것입니다. 이외에도 이들은 특수 작전 수행, 지상 목표에 대한 미사일 공격, 정보 수집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들 잠수함은 항공모함 전단의 일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적의 해상 통신선을 차단하는 봉쇄 작전에도 투입될 수 있습니다.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의 역사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은 1960년대 말에 개발이 시작되었습니다. 초기에는 GDEB사가 아닌 NNS사가 주계약자로 선정되었는데, 이는 미해군이 기존의 핵추진 잠수함을 주로 건조해온 회사와는 달리 새로운 회사에 기회를 주고자 한 결정이었습니다. 그러나 설계와 관련된 지연으로 인해 건조와 일정이 지연되었으며, GDEB사도 이후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로스앤젤레스급은 Sturgeon급과 비교하여 선형이 아닌 가늘고 긴 통상 시거형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이는 정숙성을 유지하면서도 수중 속력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기술적 특징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은 강력한 원자력 추진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GE사의 PWR S6G 원자로에서 나오는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되며, 이 원자로의 출력은 35,000마력(26MW)으로, 주동력을 확보하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보조 동력원으로는 242kW 출력의 Magnatek 디젤 엔진을 사용하여 수상이나 스노켈 항해 시에 사용됩니다.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은 최대 450m까지 잠항할 수 있으며, 공식적으로 발표된 최고 속도는 약 25노트입니다. 그러나 이보다 높은 속도를 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공격 잠수함 운용 현황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은 미 해군에서 가장 많이 건조된 핵잠수함 클래스로, 여전히 많은 수가 활동 중입니다. 그러나 최신의 버지니아급(SSN-774)과 세이울프급(SSN-21) 잠수함에 비해 점차 그 수를 줄이고 있으며, 노후화에 따른 퇴역과 함께 이들을 대체할 새로운 세대의 잠수함으로 교체되고 있습니다.

     
    함명
    함번
    조선소
    취역
    퇴역
    현황
    Flight I
    1
    Los Angeles
    SSN-688
    NNS
    13-Nov-76
    04-Feb-11
    퇴역
    2
    Baton Rouge
    SSN-689
    25-Jun-77
    13-Jan-95
    퇴역
    3
    Philadelphia
    SSN-690
    GDEB
    25-Jun-77
    25-Jun-10
    퇴역
    4
    Memphis
    SSN-691
    NNS
    17-Dec-77
    01-Apr-11
    퇴역
    5
    Omaha
    SSN-692
    GDEB
    11-Mar-78
    05-Oct-95
    퇴역
    6
    Cincinnati
    SSN-693
    NNS
    11-Mar-78
    29-Jul-96
    퇴역
    7
    Groton
    SSN-694
    GDEB
    08-Jul-78
    07-Nov-97
    퇴역
    8
    Birmingham
    SSN-695
    NNS
    16-Dec-78
    22-Dec-97
    퇴역
    9
    New York City
    SSN-696
    GDEB
    03-Mar-79
    30-Apr-97
    퇴역
    10
    Indianapolis
    SSN-697
    05-Jan-80
    22-Dec-98
    퇴역
    11
    Bremerton
    SSN-698
    28-Mar-81
     
    2019년
    12
    Jacksonville
    SSN-699
    16-May-81
     
    2019년
    13
    Dallas
    SSN-700
    18-Jul-81
    04-Apr-18
    퇴역
    14
    La Jolla
    SSN-701
    24-Oct-81
     
    MTS
    15
    Phoenix
    SSN-702
    19-Dec-81
    29-Jul-98
    퇴역
    16
    Boston
    SSN-703
    30-Jan-82
    19-Nov-99
    퇴역
    17
    Baltimore
    SSN-704
    24-Jul-82
    10-Jul-98
    퇴역
    18
    City of Corpus Christi
    SSN-705
    08-Jan-83
    03-Aug-17
    퇴역
    19
    Albuquerque
    SSN-706
    21-May-83
    27-Feb-17
    퇴역
    20
    Portsmouth
    SSN-707
    01-Oct-83
    10-Sep-04
    퇴역
    21
    Minneapolis-Saint Paul
    SSN-708
    10-Mar-84
    28-Aug-08
    퇴역
    22
    Hyman G. Rickover
    SSN-709
    21-Jul-84
    14-Dec-06
    퇴역
    23
    Augusta
    SSN-710
    19-Jan-85
    11-Feb-09
    퇴역
    24
    San Francisco
    SSN-711
    NNS
    24-Apr-81
     
    MTS
    25
    Atlanta
    SSN-712
    06-Mar-82
    16-Dec-99
    퇴역
    26
    Houston
    SSN-713
    25-Sep-82
    26-Aug-16
    퇴역
    27
    Norfolk
    SSN-714
    21-May-83
    11-Dec-14
    퇴역
    28
    Buffalo
    SSN-715
    05-Nov-83
    30-Jan-19
    퇴역
    29
    Salt Lake City
    SSN-716
    12-May-84
    15-Jan-06
    퇴역
    30
    Olympia
    SSN-717
    17-Nov-84
     
    2019년
    31
    Honolulu
    SSN-718
    06-Jul-85
    02-Nov-07
    퇴역
    Flight II (VLS 개수)
    32
    Providence
    SSN-719
    GDEB
    27-Jul-85
     
    2019년
    33
    Pittsburgh
    SSN-720
    23-Nov-85
    2019년
    34
    Chicago
    SSN-721
    NNS
    27-Sep-86
    현역
    35
    Key West
    SSN-722
    12-Sep-87
    현역
    36
    Oklahoma City
    SSN-723
    09-Jul-88
    현역
    37
    Louisville
    SSN-724
    GDEB
    08-Nov-86
    현역
    38
    Helena
    SSN-725
    11-Jul-87
    현역
    39
    Newport News
    SSN-750*
    NNS
    03-Jun-89
    현역
    Flight III (688 Improved)
    40
    San Juan
    SSN-751
    GDEB
    06-Aug-88
     
    현역
    41
    Pasadena
    SSN-752
    11-Feb-89
    현역
    42
    Albany
    SSN-753
    NNS
    07-Apr-90
    현역
    43
    Topeka
    SSN-754
    21-Oct-89
    현역
    44
    Miami
    SSN-755
    30-Jun-90
    28-Mar-14
    퇴역
    45
    Scranton
    SSN-756
    26-Jan-91
     
    현역
    46
    Alexandria
    SSN-757
    GDEB
    29-Jun-91
    현역
    47
    Asheville
    SSN-758
    NNS
    28-Sep-91
    현역
    48
    Jefferson City
    SSN-759
    29-Feb-92
    현역
    49
    Annapolis
    SSN-760
    GDEB
    11-Apr-92
    현역
    50
    Springfield
    SSN-761
    09-Jan-93
    현역
    51
    Columbus
    SSN-762
    24-Jul-93
    현역
    52
    Santa Fe
    SSN-763
    08-Jan-94
    현역
    53
    Boise
    SSN-764
    NNS
    07-Nov-92
    현역
    54
    Montpelier
    SSN-765
    13-Mar-93
    현역
    55
    Charlotte
    SSN-766
    16-Sep-94
    현역
    56
    Hampton
    SSN-767
    06-Nov-93
    현역
    57
    Hartford
    SSN-768
    GDEB
    10-Dec-94
    현역
    58
    Toledo
    SSN-769
    24-Feb-95
    현역
    59
    Tucson
    SSN-770
    18-Aug-95
    현역
    60
    Columbia
    SSN-771
    09-Oct-95
    현역
    61
    Greeneville
    SSN-772
    NNS
    16-Feb-96
    현역
    62
    Cheyenne
    SSN-773
    13-Sep-96
    현역

    결론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은 미 해군의 잠수함 전력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으며, 냉전 기간 동안 해양에서의 우위 확보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이 잠수함들은 다양한 임무 수행 능력과 함께, 미 해군의 전략적 유연성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현재도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나, 점차 최신 기술을 탑재한 새로운 세대의 잠수함으로 교체되어 가고 있습니다.

    반응형